2025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Worlds)
2025년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의 대미를 장식할 최고의 축제, 월드 챔피언십(Worlds) 2025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모든 프로 선수들이 꿈꾸는 궁극의 무대이자, 한 해의 노력을 보상받는 결승점인 월드 챔피언십은 전 세계 e스포츠 팬들의 심장을 뛰게 합니다. 라이엇 게임즈는 2025년 월드 챔피언십의 개최지로 e스포츠 강국인 중국을 최종 선정하며, 압도적인 규모와 새로운 시도로 역대급 대회를 예고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월드 챔피언십의 대회 특징, 공식 일정, 참가국 및 자격 등 모든 것을 상세히 분석합니다.
1. 대회 특징 및 의의: 명예와 유산의 정점
월드 챔피언십은 단순한 국제 토너먼트를 넘어,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의 모든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대회는 한 해 동안 쌓아온 팀들의 실력과 전략, 그리고 선수들의 땀과 노력을 증명하는 유일한 무대입니다.
- 최고의 명예: 월드 챔피언십 우승팀은 소환사의 컵을 들어 올리고, 팀원들의 이름이 새겨진 '스킨'을 제작하는 영광을 얻습니다. 이는 단순한 보상을 넘어, 리그 오브 레전드 역사에 영원히 기록되는 불멸의 유산이 됩니다.
- 최고의 경쟁: 월드 챔피언십은 전 세계 각 지역의 최강 팀들이 모두 모여 경쟁하는 유일한 대회입니다. 한국의 LCK, 중국의 LPL, 유럽의 LEC, 북미의 LCS 등 각 지역의 챔피언들이 자신들의 지역 메타를 증명하고, 새로운 전략을 선보이며 끊임없이 진화합니다.
- 새로운 메타의 창조: 월드 챔피언십은 항상 새로운 패치 버전에서 진행되어, 선수들이 새로운 메타에 적응하고 이를 증명하는 무대가 됩니다. 이는 다음 해 시즌에 큰 영향을 미치며, 월즈 메타가 곧 글로벌 메타로 자리 잡게 됩니다.
2. 공식 일정 및 개최지: 중국을 순회하는 월즈
2025년 월드 챔피언십은 중국의 세 도시를 순회하며 개최되어, 각 도시의 팬들에게 e스포츠의 열기를 직접 느낄 기회를 선사합니다.
- 대회 기간: 2025년 10월 14일 (화) ~ 2025년 11월 9일 (일)
- 개최 도시 및 경기장:
- 플레이-인 & 스위스 스테이지: 2025년 10월 14일 (화) ~ 10월 25일 (토) | 베이징 스마트 e스포츠 센터
- 첫 두 단계가 진행되는 베이징은 중국 e스포츠의 중요한 거점 중 하나로, 새로운 경기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선보일 것입니다.
- 녹아웃 스테이지 (8강 & 4강): 2025년 10월 28일 (화) ~ 11월 2일 (일) | 상하이 메르세데스-벤츠 아레나
- e스포츠의 역사적인 도시인 상하이에서 진행되는 녹아웃 스테이지는 한 치의 양보 없는 치열한 승부를 펼치며 팬들을 열광시킬 것입니다.
- 결승전: 2025년 11월 9일 (일) | 청두 둥안 레이크 스포츠 파크 다기능 체육관
- 월드 챔피언십의 대미를 장식할 결승전은 청두의 웅장한 경기장에서 열립니다. 결승전 단 한 경기로 모든 것이 결정되는 이 무대는 역대급 명승부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 플레이-인 & 스위스 스테이지: 2025년 10월 14일 (화) ~ 10월 25일 (토) | 베이징 스마트 e스포츠 센터
3. 대회 형식: 진화된 스위스 시스템
2025년 월드 챔피언십은 2024년에 도입된 새로운 시스템을 유지하며, 더욱 공정한 경쟁을 목표로 합니다.
- 플레이-인 스테이지:
- 참가 팀: LLA, CBLOL, PCS, VCS, LJL 등 마이너 리그 우승팀들과, LCS와 LEC의 3번 시드 팀들이 참가합니다.
- 방식: 8개 팀이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경쟁하며, 최종적으로 2개의 팀만이 스위스 스테이지에 진출합니다.
- 스위스 스테이지:
- 참가 팀: 플레이-인 스테이지를 통과한 2팀과 LCK, LPL, LEC, LCS의 12개 본선 시드 팀이 참가합니다.
- 방식: 16개 팀이 그룹 스테이지 없이 스위스 시스템으로 경쟁합니다. 각 팀은 동일한 승패 기록을 가진 팀과 맞붙게 되며, 3승을 먼저 달성한 팀은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하고, 3패를 기록한 팀은 탈락하게 됩니다.
- 녹아웃 스테이지:
- 참가 팀: 스위스 스테이지를 통과한 8개 팀이 참가합니다.
- 방식: 8강, 4강, 결승전은 모두 5전 3선승제(Bo5) 단판 승부로 진행되는 토너먼트입니다. 패배 시 바로 탈락하며, 최고의 실력을 가진 팀만이 결승 무대에 오를 수 있습니다.
4. 참가국, 참가 인원, 참가 자격
2025년 월드 챔피언십에는 총 14개 지역의 22개 팀이 참가합니다. 각 지역의 시드권은 해당 지역의 국제 대회 성적을 반영하여 결정되었습니다.
- LCK (한국): 4팀
- 참가 자격:
- LCK 서머 스플릿 우승팀
- LCK 챔피언십 포인트 1위 팀
- LCK 챔피언십 포인트 2위 팀
- MSI 우승 추가 시드 (젠지의 우승으로 획득)
- 참가 자격:
- LPL (중국): 4팀
- 참가 자격:
- LPL 서머 스플릿 우승팀
- LPL 서머 플레이오프 챔피언십 포인트 1위 팀
- LPL 서머 플레이오프 챔피언십 포인트 2위 팀
- MSI 최고 성적 지역 시드 (LPL이 MSI에서 LCK와 나란히 최고 성적을 기록하며 획득)
- 참가 자격:
- LEC (유럽): 3팀
- 참가 자격: LEC 시즌 파이널 최종 순위 1, 2, 3위 팀
- LCS (북미): 3팀
- 참가 자격: LCS 시즌 파이널 최종 순위 1, 2, 3위 팀
- PCS (아시아 태평양): 2팀 (플레이-인)
- VCS (베트남): 2팀 (1팀 스위스, 1팀 플레이-인)
- CBLOL (브라질): 1팀 (플레이-인)
- LJL (일본): 1팀 (플레이-인)
- LLA (라틴 아메리카): 1팀 (플레이-인)
- LCL (독립국가연합): 1팀 (플레이-인)
- 참가 인원: 총 22개 팀, 팀당 최소 5명의 주전 선수와 코칭 스태프를 포함해 약 150명 이상의 선수 및 관계자가 참가합니다.
5. 2025년 월드 챔피언십의 주요 관전 포인트
- LCK의 왕좌 수성: 2025년 MSI에서 우승하며 세계 최강의 자리를 되찾은 LCK가 이번 월드 챔피언십에서도 그 위상을 지켜낼 수 있을지가 가장 큰 관전 포인트입니다. LCK 팀들은 월즈에서 어떤 새로운 전략과 메타를 선보일지 기대됩니다.
- LPL의 설욕: MSI에서 아쉬운 준우승을 기록한 LPL은 자국에서 열리는 월드 챔피언십에서 반드시 우승을 차지하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습니다. LPL의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이 홈 팬들의 응원과 만나 어떤 시너지를 낼지 주목해야 합니다.
- 서양 팀의 반란: G2, Team Liquid 등 서양 리그의 강팀들이 동양 리그의 강팀들을 상대로 어떤 이변을 만들어낼지 지켜보는 것도 흥미롭습니다. 특히, G2는 변칙적인 밴픽과 전략으로 항상 예상치 못한 경기를 만들어내는 팀입니다.
- '스위스 스테이지'의 새로운 드라마: 새로운 시스템인 스위스 스테이지는 전통적인 그룹 스테이지와 달리, 매 경기가 매우 중요해집니다. 예측 불가능한 대진과 치열한 승부는 팬들에게 새로운 재미를 선사할 것입니다.
결론
2025년 월드 챔피언십은 단순한 e스포츠 대회를 넘어, 전 세계 팬들에게 잊지 못할 감동과 드라마를 선사할 것입니다. 중국 3개 도시를 순회하며 열리는 이번 대회는 더욱 많은 팬들에게 직접 경기를 관람할 기회를 제공하며, e스포츠의 규모와 영향력을 한층 더 끌어올릴 것입니다. 월드 챔피언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향해 달려온 모든 팀과 선수들의 뜨거운 열정이 전 세계를 물들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