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는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고 역동적인 한 해를 보내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시즌 중반의 향방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국제 대회, 바로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이 있습니다. 지난 5월 성황리에 막을 내린 2025 MSI는 전 세계 팬들에게 잊지 못할 명승부와 새로운 메타의 흐름을 선보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 MSI의 공식 일정부터 참가 팀, 참가 자격, 대회 특징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상세하게 분석합니다.
1. 대회 특징 및 의의: 시즌 중반의 시험대
2025 MSI는 단순한 토너먼트를 넘어, 올 시즌의 글로벌 메타와 각 지역의 위상을 가늠하는 결정적인 시험대였습니다. 특히, 이번 MSI는 2024년 시즌부터 도입된 새로운 월드 챔피언십 시드 규정을 적용하는 두 번째 대회였기에 더욱 큰 의미를 가졌습니다. MSI 우승팀에게는 소속 지역에 추가적인 월드 챔피언십 시드권이 주어졌고, MSI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낸 지역에게는 월드 챔피언십 본선 진출(Groups Stage) 직행 시드가 부여되었습니다. 이는 각 팀이 단순한 우승을 넘어, 소속 지역의 명예와 월즈 진출에 직접적으로 기여해야 한다는 막중한 책임감을 부여했습니다.
또한, 2025년 시즌에 적용된 15.8 패치 버전으로 진행된 MSI는 챔피언 밸런스와 아이템의 변화를 전 세계에 선보이는 무대가 되었습니다. '무너지는 메타'라는 평가 속에서, 각 지역의 팀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해석을 통해 새로운 전략과 챔피언 조합을 선보였고, 이는 MSI 이후의 여름 스플릿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2. 공식 일정 및 개최지: 영국 런던을 뜨겁게 달구다
2025년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은 e스포츠의 성지 중 하나인 영국 런던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유서 깊은 축구 경기장인 웸블리 스타디움 옆에 위치한 OVO 아레나 웸블리에서 진행된 이번 대회는 뜨거운 현장 열기 속에서 진행되었습니다.
- 대회 기간: 2025년 5월 1일 (목) ~ 5월 18일 (일)
- 개최 장소: OVO 아레나 웸블리, 런던, 영국
- 세부 일정:
- 플레이-인 스테이지: 5월 1일 (목) ~ 5월 5일 (월)
- 마이너 리그 팀들과 LCS, LEC 팀들이 8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경기를 펼치며, 각 그룹의 1위 팀이 브래킷 스테이지에 진출했습니다.
- 브래킷 스테이지: 5월 8일 (목) ~ 5월 18일 (일)
- 플레이-인을 통과한 팀들과 LCK, LPL의 시드권 팀들이 8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경기를 펼쳤습니다. 모든 경기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습니다.
- 결승전: 5월 18일 (일) 오후 8시 (한국 시간)
- 플레이-인 스테이지: 5월 1일 (목) ~ 5월 5일 (월)
3. 참가국 및 참가 자격: 지역의 자존심을 건 대결
2025 MSI에는 총 10개 지역의 12개 팀이 참가했습니다. 각 지역 리그의 봄 스플릿 최종 성적이 MSI 진출권을 결정하는 유일한 기준이었습니다. 특히, LCK와 LPL은 그 위상에 걸맞게 두 팀을 보냈습니다.
- 참가 팀 및 참가 자격:
- LCK (한국): 2팀
- 참가 자격: LCK 2025 스프링 우승팀과 준우승팀.
- 참가 팀: Gen.G (우승), T1 (준우승)
- LPL (중국): 2팀
- 참가 자격: LPL 2025 스프링 우승팀과 준우승팀.
- 참가 팀: Bilibili Gaming (BLG) (우승), Top Esports (TES) (준우승)
- LEC (유럽): 1팀
- 참가 자격: LEC 2025 스프링 우승팀.
- 참가 팀: G2 Esports (G2)
- LCS (북미): 1팀
- 참가 자격: LCS 2025 스프링 우승팀.
- 참가 팀: Team Liquid (TL)
- PCS (아시아 태평양): 1팀
- 참가 자격: PCS 2025 스프링 우승팀.
- 참가 팀: PSG Talon
- LJL (일본): 1팀
- 참가 자격: LJL 2025 스프링 우승팀.
- 참가 팀: DetonatioN FocusMe (DFM)
- VCS (베트남): 1팀
- 참가 자격: VCS 2025 스프링 우승팀.
- 참가 팀: GAM Esports
- CBLOL (브라질): 1팀
- 참가 자격: CBLOL 2025 스프링 우승팀.
- 참가 팀: LOUD
- LCL (독립국가연합): 1팀
- 참가 자격: LCL 2025 스프링 우승팀.
- 참가 팀: Team Spirit
- LLA (라틴 아메리카): 1팀
- 참가 자격: LLA 2025 스프링 우승팀.
- 참가 팀: Movistar R7
- LCK (한국): 2팀
- 총 참가 인원: 12개 팀. 각 팀은 5명의 주전 선수와 1~2명의 후보 선수, 그리고 코칭 스태프로 구성되므로, 선수 및 관계자를 포함해 약 100명 이상의 인원이 참가했습니다.
4. 주요 하이라이트 및 결승전: LCK와 LPL의 숙명의 대결
2025 MSI는 시작부터 뜨거웠습니다. LCK의 **젠지(Gen.G)**와 LPL의 **빌리빌리 게이밍(BLG)**은 각각 '무적의 왕조'와 '파격의 돌풍'이라는 타이틀을 걸고 양대 리그의 패권을 증명하려 했습니다.
- 젠지(Gen.G): LCK 4연속 우승의 위업을 달성한 젠지는 2025 MSI에서도 그 기세를 이어갔습니다. '캐니언' 김건부와 '쵸비' 정지훈을 중심으로 한 강력한 초반 운영과 한타는 모든 팀들의 경계 대상이었습니다.
- 빌리빌리 게이밍(BLG): LPL의 최강자로 군림한 BLG는 '빈'과 '엘크'를 앞세워 공격적인 플레이와 유연한 전략으로 MSI를 뒤흔들었습니다. 특히, 상대를 압도하는 초반 스노우볼링 능력은 가히 예술적이라는 찬사를 받았습니다.
결승전은 예상대로 LCK의 젠지와 LPL의 BLG의 대결로 압축되었습니다. 두 팀은 치열한 5전 3선승제 경기를 펼쳤으며, 최종적으로 3대2의 스코어로 **젠지(Gen.G)**가 승리를 거두며 2025 MSI의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습니다. 이는 젠지의 국제 대회 첫 우승이자, LCK가 다시 한번 세계 최강 지역임을 증명하는 순간이었습니다.
5. 2025 MSI의 결과가 가져온 파장
이번 MSI의 결과는 2025년 시즌 후반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 월드 챔피언십 시드권: 젠지의 우승으로 LCK는 월드 챔피언십에 추가 시드권을 획득했습니다. 이는 LCK가 총 4개의 시드를 가져가게 되면서, 한국 팀들의 월즈 진출 확률을 더욱 높이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 메타의 변화: 이번 MSI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인 챔피언들과 전략들은 각 지역 리그의 여름 스플릿에 깊이 파고들 것입니다. 특히, 젠지가 선보인 유기적인 팀 플레이와 BLG의 변칙적인 전략은 전 세계 팀들의 벤치마킹 대상이 될 것입니다.
- 지역 리그의 재정비: MSI에서 아쉬운 성적을 거둔 지역들은 여름 스플릿을 앞두고 전력 재정비에 들어갈 것입니다. 특히, LCS와 LEC 팀들은 동양권 팀들과의 격차를 실감하며 새로운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결론
2025년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은 단순한 우승팀을 가리는 대회를 넘어, 월드 챔피언십으로 가는 길목에서 각 지역의 실력을 증명하는 중요한 무대였습니다. 젠지의 우승으로 LCK는 다시 한번 세계 최강의 자리를 공고히 했으며, 이번 대회를 통해 얻은 경험과 데이터는 모든 지역의 팀들에게 귀중한 자산이 될 것입니다. 이제 모든 시선은 여름 스플릿을 향해 있으며, 2025년 월드 챔피언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향한 여정은 계속될 것입니다.